Skip to content

InlineFuntion과 Reified

inline 키워드는 자바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코틀린만의 키워드이다.

코틀린 공식문서의 inline function을 보면, 코틀린에서 고차함수(High order functions, 함수를 인자로 전달하거나 함수를 리턴)를 사용하면 패널티가 발생한다고 나와있다.

패널티란 추가적인 메모리 할당 및 함수호출로 Runtime overhead가 발생한다는 것으로, 람다를 사용하면 각 함수는 객체로 변환되어 메모리 할당과 가상 호출 단계를 거치는데 여기서 런타임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inline functions는 내부적으로 함수 내용을 호출되는 위치에 복사하며, Runtime overhead를 줄여준다.

객체로 변환되는 오버헤드란?

아래와 같은 고차함수(함수를 인자로 전달하거나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를 컴파일 하면 자바 파일이 생성된다.

fun doSomethingElse(lambda: () -> Unit) {
println("Doing something else")
lambda()
}

컴파일된 자바 코드는 Functional Interface인 Function 객체를 파라미터로 받고 invoke 메서드를 실행한다.

그러면 이제 위에서 선언한 메소드를 이용해 또 다른 메서드를 만들어보자.

doSomethingElse를 실행 하기전 출력문을 실행 후 함수를 호출하며 파라미터로 { println(“Inside lambda”) } 람다식을 넣었다.

fun doSomething() {
println("Before lambda")
doSomethingElse {
println("Inside lambda")
}
println("After lambda")
}

위 코드를 자바로 컴파일 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public static final void doSomething() {
System.out.println("Before lambda");
doSomethingElse(new Function() {
public final void invoke() {
System.out.println("Inside lambda");
}
});
System.out.println("After lambda");
}

이 코드의 문제점은 파라미터로 매번 새로운(new Function())객체를 만들어 넣어준다는 것이다. 이렇게 의미없이 객체로 변환되는 코드가 바로 객체로 변환되는 오버헤드이자 패널티이다.

Inline-Funtions 으로 오버헤드 해결하기

메소드 앞에 inline를 붙이면 이렇게 된다.

inline fun doSomethingElse(lambda: () -> Unit) {
println("Doing something else")
lambda()
}
public static final void doSomething() {
System.out.println("Before lambda");
System.out.println("Doing something else");
System.out.println("Inside lambda");
System.out.println("After lambda");
}

위 자바 컴파일 코드를 보면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부분이 사라지고

  • System.out.println("Doing something else");
  • System.out.println("Inside lambda"); 두 코드로 변경된 것을 알 수있다.

Reified

범용성 좋은 메소드를 만들기 위해 generics 를 사용할 때가 있다.

이떄 inline과 함께 refied 키워드를 사용하면 Generics를 사용하는 메소드 까지 처리할 수 있다.

fun <T> doSomething(someValue: T)

이러한 class Type T 객체는 원래 타입에 대한 정보가 런타임에서 Type Erase 되어버려 알 수 없어져서, 실행하면 에러가 난다.

따라서 Class를 함께 넘겨 type을 확인하고 casting 하는 과정을 거치곤한다.

// runtime에서도 타입을 알 수 있게 Class<T> 넘김
fun <T> doSomething(someValue: T, Class<T> type) {
// T의 타입을 파라미터를 통해 알기에 OK
println("Doing something with value: $someValue")
// T::class 가 어떤 class인지 몰라서 Error
println("Doing something with type: ${T::class.simpleName}")
}

인라인(inline) 함수와 reified 키워드를 함께 사용하면 T type에 대해서 런타임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타입을 유지하기 위해서 Class와 같은 추가 파라미터를 넘길 필요가 없어진다.

//reified로 런타임시 T의 타입을 유추 할 수있게됨
inline fun <reified T> doSomething(someValue: T) {
// OK
println("Doing something with value: $someValue")
// T::class 가 reified로 인해 타입을 알 수 있게되어 OK
println("Doing something with type: ${T::class.simpleName}")
}

inline keyword는 1~3줄 정도 길이의 함수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noinline

인자 앞에 noinline 키워드를 붙이면 해당 인자는 inline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noinline 키워드가 붙은 인자는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inline fun doSomething(action1: () -> Unit, noinline action2: () -> Unit) {
action1()
anotherFunc(action2)
}
fun anotherFunc(action: () -> Unit) {
action()
}
fun main() {
doSomething({
println("1")
}, {
println("2")
})
}

cross inline

crossinline은 lambda 가 non-local return 을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inline 되는 higher order function 에서 lambda 를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전달할 때 마킹을 해준다.

inline fun foo(crossinline f: () -> Unit) {
/**
* 다른 고차함수에서 func를 호출시엔 crossinline 을 표시해주어야 함.
*/
bar { f() }
}
fun bar(f: () -> Unit) {
f()
}

예제를 보면 f lambda 는 바로 소비되지 않고, boo 로 한번 더 전달이 된다.

전달이 되지 않는다면 inline 함수이기 때문에 non-local return 이 허용되지만, 한번 더 전달되므로 non-local return을 할 수 없게 되고, 이것을 명시적으로 알리기 위해(함수 사용자 & compiler) crossinline 으로 마킹해준다.